내수 부진·업황 둔화에 부동산 PF 부실 여파
2분기 건설업 성장률 26년만에 최저치
[오피니언뉴스=김솔아 기자]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상반기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1년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 부진과 건설 업황 둔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가 통계에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부실대출 비율은 1.6%로 나타났다. 건설업 전체 대출액 28조 6790억원 중 고정이하여신은 4575억원(1.60%)에 달했다. 금융기관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대출상태를 평가하는데,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을 고정이하여신이라고 한다.
지난해 상반기 말 총여신 24조 1878억원 중 고정이하여신이 2825억원(1.17%)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새 부실 채권 비율이 0.43%p 올랐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은행의 건설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해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늘어 5대 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KB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하나은행은 1.13%에서 1.26%로, 신한은행은 0.70%에서 0.99% 등으로 일제히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올랐다.
건설업 부실대출 비율은 타 업종보다 눈에 띄게 높았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5대 은행의 전체 여신은 1008조 1002억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3조 6878억원(0.37%)으로 집계됐다. 건설업 부실대출 비율이 평균 부실률의 4배를 웃도는 셈이다.
제조업 대출에서의 고정이하여신 비중은 0.32%, 도소매업 0.43%, 숙박·음식업 대출 0.43%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에서는 0.38%, 서비스업·기타에서는 0.24%가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혔다.
부실 대출 비율이 0.5%를 넘는 업종은 건설업이 유일하다.
금융권에서는 부동산 PF 부실 위험이 건전성 지표로 드러나고 있다고 봤다. 특히 태영건설 관련 부실 채권이 지난해 말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큰 틀에서는 내수 부진과 건설 업황 둔화의 연장선 위에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22년 이후 부동산 경기와 건설 업황이 부진해지면서 (PF 대출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대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면서 "금융기관 PF대출의 건전성이 악화된 가운데 PF사업에서의 주요 신용보증 주체인 증권사, 부동산신탁사 및 건설사의 우발채무가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여타 금융부문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건설업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지난 1분기 5.5%를 기록했으나 2분기 -6.0%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6.4%) 이후 무려 26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전망도 불투명한 만큼 은행들의 건전성 지표도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은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주거용·상업용 중심의 입주 물량 축소와 신규 착공 위축 영향으로 공사 물량 감소가 본격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건설투자는 금년 및 내년에 각각 0.8% 및 0.7% 감소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